AI

AI는 ‘상식’을 가질 수 있을까?

비전공자의 테크노트 2025. 7. 26. 11:11

 

AI는 ‘상식’을 가질 수 있을까?

언어는 이해하지만, 맥락은 모른다?

요즘 AI는 무서울 만큼 똑똑해졌습니다.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문제를 풀고, 요리 레시피도 알려주며 심지어 코딩도 합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묻습니다.
“AI도 이제 상식을 가진 것 아니야?”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처럼 말하고 대답합니다.
그러나 진짜 ‘상식’을 이해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I가 ‘상식’을 가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현재 AI는 그 기준에 얼마나 도달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AI는 ‘상식’을 가질 수 있을까


🧠 ‘상식’이란 도대체 뭘까?

‘상식(common sense)’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경험과 문화, 맥락을 통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지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판단이 상식입니다:

  • 불은 뜨겁다.
  • 사람은 밥을 먹고 살아간다.
  • 밤이 되면 어두워진다.
  • 우산은 비 올 때 쓰는 도구다.
  • 개는 고양이보다 크기가 보통 크다.

이런 상식은 **단순히 문장으로 암기된 사실(fact)**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직관적으로 체득된 판단 능력입니다.
즉, 사람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무엇이 자연스러운지’를 아는 것이죠.


🤖 AI는 정말 상식을 아는 걸까?

AI는 언뜻 보기엔 상식이 있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예를 들어, “비 오는 날엔 어떤 물건이 필요할까?”라는 질문에 AI는 **“우산이 필요합니다”**라고 대답할 수 있습니다.
이게 상식처럼 보일 수도 있죠.

하지만 이건 정말로 AI가 상황을 이해하고 내린 판단일까요?

사실 대부분의 AI는 패턴 기반의 예측 시스템입니다.
즉, “비가 온다 → 우산”이라는 단어들의 관계를 수많은 텍스트 데이터에서 빈도수 기반으로 학습했을 뿐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우산이 아니라 '모자'나 '비옷'을 대답할 수도 있고, 때로는 ‘아무 상관없는 답’을 낼 수도 있습니다.


🧪 실제 예시: AI의 비상식적 답변들

아래는 과거 AI 언어 모델들이 보여준 상식 결여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1. “얼음 위에 컵을 올려놓으면 어떻게 될까?”
    → AI: “얼음이 녹아 컵이 뜬다.” (❌ 비상식적)
  2. “사람이 숨을 쉬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 AI: “사람은 산소 없이도 3일 동안 살 수 있다.” (❌ 잘못된 상식)
  3. “당신의 팔을 오븐에 넣으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 AI: “팔이 따뜻해진다.” (❌ 실제 위험성과 맥락 결여)

이런 대답들은 AI가 현실과 물리 법칙, 인간의 생물학적 조건 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 왜 AI는 상식을 갖기 어려운가?

1. 상식은 ‘경험’에서 생긴다

AI는 세상을 직접 경험하지 않습니다. 오직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음성 등 ‘간접 정보’만으로 세상을 학습합니다.
반면 인간은 실제로 뜨거운 걸 만져보고, 넘어져보고, 감정적 상호작용을 하며 상식을 형성합니다.

2. 상식은 ‘상황의 맥락’을 해석해야 한다

상식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상황, 목적, 감정, 관습 등을 모두 고려한 직관적 판단입니다.
AI는 아직 이러한 비형식적 맥락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3. 상식은 문화마다 다르다

‘상식’은 전 세계 어디서나 동일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신발을 벗고 집에 들어가는 문화는 한국에서는 상식이지만, 미국에서는 아닐 수 있습니다.
AI가 문화 간 차이를 민감하게 구분하고 판단하기는 여전히 어렵습니다.


🧠 ‘상식’의 학습을 위한 노력들

최근 AI 연구자들은 AI에게 상식을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1. CommonSenseQA

AI에게 상식적인 질문을 던지고, 올바른 답을 고르게 하는 데이터셋.
예: "침대, 신발, 비누 중 어디서 자는가?" → 정답: 침대

2. ConceptNet

상식적 지식들을 그래프 형태로 정리한 오픈소스 지식베이스.
예: “케이크는 먹는 것이다”, “고양이는 동물이다” 같은 기본 개념들을 연결

3. 멀티모달 학습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소리, 동영상 등 여러 감각 정보를 동시에 학습시켜 인간과 비슷한 인지 구조를 만들려는 시도


🤔 상식이 없으면 생기는 문제는?

AI가 상식 없이 작동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비상식적인 조언: 건강, 금융, 법률 등의 민감한 분야에서 잘못된 정보를 제시
  • 사고 가능성: 자율주행차가 예상 밖의 행동을 할 경우 안전 사고
  • 불쾌감 유발: 감정을 고려하지 못하고 무례하거나 민감한 표현 사용
  • 사회적 오해: 문화적 맥락을 놓쳐 편향된 판단이나 차별적 발언 생성

🎯 결론: AI에게 상식을 기대해도 될까?

AI는 상식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흉내’ 낼 뿐입니다.
다만, 그 흉내의 수준이 점점 정교해지고, 인간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건,
상식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사람다움’에서 나오는 판단력이라는 점입니다.

AI가 아무리 똑똑해져도,
진짜 상식은 인간의 감정, 문화, 맥락을 포함한 복합적 판단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